게임이야기

꿈의 게임기, 네오지오 - 1

수잔이 2021. 11. 19. 10:29

오늘부터는 게임이 아닌 게임기인 네오지오에 대해서 알아보자.

알파전자(ADK)에서 개발해 SNK가 1990년 4월 26일에 내놓은 아케이드 시스템 기판과 
이 기판과 호환하는 가정용 거치형 게임기. 
이름의 의미는 새로운(neo) 땅(geo). 
신지평, 신천지, 신세계 정도의 의미.


21세기 현재는 고전이 되었지만 15년 가량 게임을 출시하며 현역으로 굴러온 놀라운 장수머신.
IT 기술의 발전 속도를 생각하면 네오지오의 분투는 놀랍지 않을 수 없다. 
출시 당시에 고사양이었던 점, 인기가 많았던 점, 
SNK의 차세대 기판 하이퍼 네오지오 64가 대실패라는 점 등의 이유로 가능했다.


아케이드용 기판은 MVS(Multi Video System)로 불리고, 
가정용은 AES(Advanced Entertainment System)로 불린다. 
'네오지오'라는 상표명은 둘 다 포함하는 이름이지만 일반적으로 게이머 사이에서 '네오지오'라 하면 
가정용AES를 가리키고, 아케이드용은 'MVS'라고 부르는 경우가 많다. 


하드웨어의 설계는 알파전자(ADK)에서 담당했다. 
1986년에 알파전자가 '슈퍼 스팅레이' 게임을 위해 모토로라 68000을 기반으로 한 
아케이드 기판을 개발했다. 
이를 본 SNK는 고성능 아케이드 기판 및 게임기 개발을 위해 
이듬해인 1987년부터 알파전자와 제휴에 들어갔다. 
SNK는 1987년 '배틀필드(해외판은 타임 솔저스)'로 시작해 알파전자의 아케이드 기판에 
게임을 여럿 내놓았다. 
SNK를 위해 알파전자의 하드웨어 및 시스템 프로그래밍 엔지니어 후카츠 에이지가 
그 기판을 개량했는데, 이것이 네오지오가 되었다.
이후에 알파전자에서도 SNK의 서드 파티로도 참여해 
월드 히어로즈 시리즈와 트윙클스타 스프라이츠 등의 수작 네오지오 게임을 여럿 만들었다.


하드웨어 성능이 동세대 게임기 메가 드라이브, 슈퍼 패미컴에 비해 압도적이다. 
메가 드라이브의 7.8 MHz CPU보다 50% 이상 빠른 12 MHz의 CPU를 탑재했고, 
그래픽 면에서 메가 드라이브는 물론이고 슈퍼 패미컴의 동시 발색 및 스프라이트 성능과 비교해 
크게 앞서 있다. 


단, 슈퍼 패미컴에 있는 하드웨어 반투명 표시/배경 회전 기능은 없다. 
이 성능 차이로 네오지오 게임은 뛰어난 그래픽과 사운드, 풍성한 구성을 자랑했다. 
네오지오 게임의 동시대 가정용 게임기로의 이식은 언제나 그래픽이나 분량이 절감된 버전이었다. 
네오지오 게임의 다른 게임기으로 무삭제 이식은 
드림캐스트나 플레이스테이션 2, XBOX 등 21세기가 돼서야 완벽히 이루어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