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M 2016의 경우 불법판에서 한 시즌이 끝나고 나서, 
혹은 게임 도중 선수 이름이 뒤죽박죽 섞여버리는 현상이 발생한다. 
첼시의 파브레가스가 Okwanku Dubie 뭐 이런식으로 읽기도 힘든 이름들로 바뀐다.
그래서 불법 사용자들은 이름 바뀌는 현상이 발생할 때마다 
게임을 종료, 재시작 해야하는 번거로움이 생겼지만 
2016년 1월 크랙으로 문제를 해결하긴했다. 
이렇듯 FM2016 크랙판은 급하게 복제를 한탓인지 버그가 엄청 많다. 
그러니 정품을 구매하도록 하자. 


FM 발매전 예약 판매는 10% 할인과 며칠 먼저 해볼 수 있는 베타플레이 권리를 제공한다. 
그리고 급하지 않은 사람은 기다렸다가 스팀 봄세일 등의 시기에 구매하면 반값에 살 수도 있다.

축구계에 존재감이 적은 소국들도 계속 추가해주고 있다. 
FM 2006 버전에서는 북마리아나 제도가, 2010에서는 잔지바르와 투발루가, 
2013 버전에서는 키리바시와 남수단 (이 쪽은 FIFA 신규 회원국)이, 
2014 버전에서는 지브롤터 (이 쪽은 2016년 FIFA 신규 회원국이 됐다.)와 보네르가, 
2017에서는 코소보 (이 쪽은 FIFA 신규 회원국)와 미크로네시아 연방이, 
2019 버전에서는 생바르텔레미가 추가되었다.


월드컵 모드를 진행할 경우, 
토너먼트 편성이 16강에서 A조 1위-B조 2위 C조 1위-D조 2위 .. 로 편성되면 
8강에서 두 경기의 승자가 만나야 하는데 
8강부터는 A조 1위-B조 2위 승자는 D조 1위-C조 2위 승자와 만나게 되어 있다. 
이는 1998년 프랑스 월드컵 때 한 번 쓰인 대진이며, 
2006년부터 현행 방식으로 바뀌었지만 아직도 패치되지 않고 있다.

이스터에그도 몇 개 있다. 
대표적으로 만우절 이스터에그를 꼽을 수 있는데, 
현실 날짜와 게임 날짜가 4월 1일, 즉 만우절이면 
수신함에 구단주가 재정을 추가로 지원했다는 메시지가 뜬다. 
하지만 메시지 하단을 보면 스포츠 인터랙티브가 전한 만우절 농담이라고 쓰여져 있다. 
이 외에도 인게임 플레이타임에 관한 이스터에그 등등이 있다.


한국의 한 청소년이 잉글랜드 5부리그 감독직에 지원한 일이 있다. 
구단측은 당연히 FM을 너무 열심히 한 것 같다며 무시, 
대신 명예전술분석관에 임명해 줬지만 임금 요구는 거절하였다. 

현직축구감독이 유튜브에서 FM으로 자기팀을 관리해 보기도 했다.
게임인데 괜히 승질 났다는 후평.

팁 또, FM 커뮤니티 사이트에서 찾아보면 은퇴 선수들을 만들어 추가한 
'레전드 로스터'나 각기 다른 리그의 팀들을 한데 모은 '스왑 리그' 
같은 여러 가지 추가 요소가 있다. 
그냥 하다가 질릴 때에는 이런 컨텐츠가 있으니 찾아서 해보자.

Posted by 수잔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