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부터는 어제 발표가난 마이크로소프트의 블리자드 인수에 대해서 알아보자.
마이크로소프트는 한국 시각으로 2022년 1월 18일 오후 10시 28분,
자사가 687억 달러(약 82조원)에 액티비전 블리자드를 인수했음을 발표했다.
매입가는 액티비전 블리자드의 1월 14일 금요일 주가의 45%의 프리미엄이 붙은 가격이며
인수는 회계년도 2023년인 2022년 7월 1일 ~ 2023년 6월 30일에 마무리가 된다.
이는 마이크로소프트의 역사상 최대 M&A로,
이전 최대 규모의 인수가였던 LinkedIn을 인수할 때 기록한 31조원의 2배가 넘는 엄청난 금액이며,
이전 게임사인 제니맥스 미디어 합병의 10배에 가까운 금액이다.
또한 게임 산업 역대 최대 M&A이기도 한데,
이전 최고 기록은 테이크 투 인터랙티브의 징가 인수인 127억 달러다.
최종 인수가 끝나기 전까지 액티비전 블리자드와 마이크로소프트는 경영 간섭 없이 별개의 회사로 운영되며,
인수가 끝나면 Microsoft Gaming 산하 자회사로 편입된다.
기존의 마이크로소프트 엑스박스 사업부가 굉장히 비대해졌기 때문에
'Microsoft Gaming'이라는 별도의 법인격으로 분리될 것인지
지배구조에 관해선 아직 확인되지 않았다.
액티비전 블리자드 CEO 바비 코틱은 인수가 완료되는대로 CEO에서 물러난다고 밝혔으며
MS는 CEO자리에 현 엑스박스 부서 수장인 필 스펜서를 부임시킬 예정이다.
엑스박스 게임패스를 전력으로 밀어주고 있는 마이크로소프트가
액티비전 블리자드가 소유하고 있던 콜 오브 듀티 시리즈, 스타크래프트 시리즈,
워크래프트 시리즈, 디아블로 시리즈, 오버워치 시리즈, 캔디 크러쉬 사가 등의 IP를
전부 인수했다는 점에서 서구 게이밍 시장에 엄청난 판도 변화가 있을 것임이 확실시되고 있다.
특히 콜 오브 듀티 시리즈 같은 경우는 북미와 유럽에서
플레이스테이션 리드 플랫폼의 판도를 완전히 뒤바꿔놓을 수도 있다.
일단 마이크로소프트는 인수조치가 끝나는대로 액티비전 블리자드의 게임들이 대부분
게임패스에 등록될 것임을 공언했다.
또한 게임 역사에 큰 족적을 남긴 FPS 시리즈들인 헤일로 시리즈, 둠 시리즈, 퀘이크 시리즈,
울펜슈타인 시리즈, 콜 오브 듀티 시리즈가 모두 마이크로소프트라는 한 지붕 아래에 있게 됐다.
액티비전 블리자드의 거대 게임 시리즈를 손에 넣은 마이크로소프트는
기존에 인수한 다른 게임들처럼 후속작부터는 독점작으로 전환할 가능성도 충분히 생겼다.
일단은 MS 게이밍 부서의 수장인 필 스펜서가
타 플랫폼에 적대적인 스탠스를 취하는 것에 부정적이기 때문에
당장 플레이스테이션에 대한 운영이 끊기거나 하진 않겠지만
장기적으로 봤을 때는 이전의 다른 인수처럼 MS 독점으로 갈 확률이 높다.
'게임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수로 인한 MS의 장점, 마소 블리자드 인수 - 3 (0) | 2022.01.27 |
---|---|
블리자드도 블리자드지만 액티비전이 핵심, 마소 블리자드 인수 - 2 (0) | 2022.01.24 |
마지막 이야기, 슈퍼 마리오 - 12 (0) | 2022.01.17 |
각종 로고와 우려먹기 논란, 슈퍼 마리오 - 11 (0) | 2022.01.14 |
개조 롬과 로고, 슈퍼 마리오 - 10 (0) | 2022.01.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