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편 기마궁사는 정복자 기준으로 아즈텍과 마야를 제외한 모든 문명에서 훈련할 수 있다. 

하지만 정복자까지 궁사양성소에서 기마궁사를 훈련시키는 경우는 

훈족으로 할 때 말고는 거의 없다. 

대부분의 문명에서 기마궁사는 보병 궁사보다 성능이 특별히 더 뛰어난 것도 아니면서 

금만 잔뜩 먹는 유닛이기 때문이다. 

그나마 투르크나 사라센, 몽골 기마궁사들은 성능이 훈족의 그것과 유사했지만, 

비싼 비용은 어쩔 수 없었다. 

더 결정적으로 이들 문명은 일반 기마궁사보다 더 가성비 좋은 유닛들을 가지고 있었다. 

그러니까 정복자 당시 훈족의 특수 유닛은 타칸이 아니라 기마궁사였다.

에이지 오브 엠파이어 갤리선에 대한 이미지 검색결과

하지만 가장 문제였던 것은 해상 유닛들 밸런스였다. 

본래 의도된 유닛 밸런스는 다수 갤리선>파괴선>화공선>소수 갤리선이었다. 

즉 플레이어들이 갤리선을 주류로 하여 적어도 셋 중 두 개 이상의 해상 유닛을 

두루 쓰게 하는 것이었다. 

하지만 실제 플레이할 때는 소규모 해전이 아닌 한, 갤리선만 잔뜩 뽑게 된다. 

가끔 해안에 있는 성 때릴 때 대포 갤리온배 몇 척을 동원하는 정도? 

롱보트고 거북선이고 일반적인 대전에서는 전혀 안 보인다. 

롱보트는 갤리온에 비해 가성비가 딱히 뛰어난 편이 아니고 

거북선은 너무 비싸기 때문이다. 

에이지 오브 엠파이어 거북선에 대한 이미지 검색결과

해상전이 이런 양상으로 전개되다 보니 갤리온을 아예 못 쓰는 아즈텍은 

육상전은 몰라도 해상전에서는 가장 힘이 약하다.


이렇게 불안정한 밸런스는 잊힌 제국 및 아프리카 왕국 등 추가 확장팩이 발매되면서 많이 해결되었다. 

기병이 없는 중앙아메리카 문명들의 경우 4.4 패치부터는 독수리 정찰병을 

봉건시대부터 뽑을 수 있게 함으로써 초반 찌르기를 더 강하게 가할 수 있게 만들었다. 

그 외 경제나 군사 업그레이드를 더 손보았다.

에이지 오브 엠파이어 거북선에 대한 이미지 검색결과

유닛 밸런스의 경우 추가 확장팩에서 훨씬 안정적으로 변했다. 

앞서 말한 검병의 경우 장검병 및 양손검병의 기본 스탯을 올렸고, 

여기에 추가 업그레이드로 건물에 추가 대미지를 주는 방화가 생겨 더 쓸만해졌다. 

여기에 잘 안 쓰이지만 공성탑도 4.4패치에서 추가되어 검병을 포함한 보병 유닛들이 

담을 넘어 기동전을 펼치기 더 좋은 환경이 만들어졌다. 


기마궁사의 경우 기본 가격을 낮추고(이에 따라 훈족의 기마궁사 할인율도 조절) 

일본에 혈통업을 주고 투르크에 체력 20을 더 올려주는 고유 업그레이드를 부여하는 등의 

조치를 취해 보다 많은 문명들이 기마궁사를 쓰기 편하게 만들었다. 

해상전도 4.4 패치로 화공선과 파괴선의 기본 스탯을 상향시키고, 

봉건시대에 화염 갤리선과 파괴 뗏목을 뽑을 수 있게 해서 

이전처럼 갤리선만 뽑으면 해전에서 밀리게 만들었다. 

Posted by 수잔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