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임 내용을 파고 들면 한도 끝도 없으니 기타 이모저모에 대해서만 확인을 하자.


캐릭터 서버이전(29,700원) 서비스가 시작되면서 전서버 통합 혈맹이 탄생했다.


한창 리니지가 유행하던 2000년 즈음엔 리니지 게임 플레이로 유명해진 사이버인들도 꽤 많았다. 

여러곳에서 리니지 기행문을 쓰며 유명해진 군주 '환세르'(현 디스이즈게임 기자), 

리니지 플레이포럼에서 칼럼을 쓰던 여성군주 '야채겅주버거'나 여성마법사 'Z씨즈Z',

그 외에 리니지 플레이포럼을 운영했던 장대리밴드, 유나 등등등.

리니지 캐릭터 서버 이전에 대한 이미지 검색결과

서비스 14주년째인 2012년 12월에 동시접속자수 22만 명을 기록해 자체 최고 기록을 갱신했다. 

신규 유저와 복귀 유저가 2배 늘어났기 때문이라고.


쌩초보의 상징은 단연 단검/가죽자켓/양초 두개. 

지금이야 이런저런 초보 아이템을 주지만, 

예전엔 처음 시작하면 주는 아이템이 저게 전부였기 때문이다. 

군주와 기사, 법사는 어두우면 불이라도 밝히라고 양초를 줬지만, 

요정의 경우 어두울 때 '인프라레드 사이트'라고 해서 

화면이 적외선 영상처럼 온통 초록색이 되는 대신 시야가 좁아지지 않는 

기능이 있었기 때문에 양초를 받지 않는다.

리니지1 6검4셋에 대한 이미지 검색결과

이른바 '6검 4셋'이라는 것이 생초보를 벗어난 캐릭의 상징. 

+6강 이상의 무기나 +4강 이상의 비요정족 방어구는 랜덤 확률로 +1~3강이 되는 

축주문서로만 강화할 수 있는데, 

+6강/+4강부터는 깨질 확률이 있어서 보통은 최소한 깨지지는 않게 

+5/+3강에서 강화하는 방법이 많이 쓰인다. 


운이 좋아서 한번에 +2~+3정도가 올라가면 비싸게 팔리지만, 

+6/+4 자체는 구하려고 하면 일반주문서로도 올릴 수 있기 때문에 

저주받은 주문서로 -1강을 시켜서 다시 강화에 도전하던지 

아니면 싸게 팔아치웠던 게 이유다. 

2000년대 초반에 '6검'이라고 하면 보통 그시절의 국민검이었던 일본도의 +6강이었다.

리니지1 마나의 지팡이에 대한 이미지 검색결과

마나회복 수단이래봐야 정말 천천히 마나를 채워주는 마나물약밖에 없던 당시에는 

마법사 15레벨에 게렝 퀘스트를 깨면 줬던 마나의 지팡이가 마법사의 필수 아이템이었다. 

근접전하고는 인연이 없는 법사가 다른 캐릭터를 두들겨패야 

겨우 마나 흡수를 할 수 있었지만, 

그래도 그 당시는 마나 회복 수단 자체가 매우 적었기 때문에 

서먼 몬스터를 두들겨 패던지 약한 몹을 두들겨 패던지 

무슨 수를 써서든 마나의 지팡이를 활용했었다. 

Posted by 수잔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