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제 흥행과 평가에 대해서 알아보자.

출시 직후인 2016년 5월, GameSpot은 9/10, The Escapist는 5/5, IGN은 9.4/10점 등 

주요 웹진들의 높은 평가가 이어졌으며, 북미/유럽의 언론매체들도 호평을 쏟아냈다.


플레이어들도 대체적으로 쉽고 재미있다, 

캐릭터들의 개성이 뛰어나다, 

FPS 초보도 재미있게 할 수 있다는 호평을 하는 편이다. 

사실상 3D멀미를 호소하는 플레이어들을 제외한 사람들에겐 게임성이 좋다는 평을 듣는다. 


한국에서도 오픈베타를 했고 집에서 할 수 있음에도 PC방 순위 3위까지 올라섰다는 것은 

상당히 시사하는 바가 크다. 

물론 정식서비스 이후 추세를 봐야 게임의 흥망을 알 수 있겠지만 2015년 이후로는 

웬만한 AAA급 온라인 게임의 오픈베타빨로도 

소위 말하는 PC방 3대장(LOL, 서든어택, 피파온라인)을 이기기 힘든 현실에서 

이 정도의 성과를 냈다는 것이 고무적인 점이다. 

거기에 오픈베타 종료 후 소위 금단증상이 유행을 타다 

급기야 검색어 자동완성까지 달성하는 등 흥행추이는 긍정적인 편. 

오버워치 해외 평가에 대한 이미지 검색결과

전 세계적으로도 970만 명이 오픈베타를 즐겼다는 통계를 발표했는데 

전작들보다 많은 기대를 받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이런 흥행의 원인에 대한 분석이 많다. 

게임을 잘 만들었기 때문이라는 보편적인 평처럼 인과관계 없는 말들도 많지만, 

대체적으로 블리자드가 의도한 복합적인 요인들이 시너지를 일으켰다고 평가되고 있다. 

팀 포트리스와 카스같은 전형적인 FPS 게임이나 

그동안 EA에서 나온 스타워즈: 배틀프론트나 타이탄폴, 배틀필드 시리즈, 

식물 vs 좀비: 가든 워페어 시리즈 등 이외에도 소규모 개발사인 

좀비 스튜디오에서 만든 Blacklight: Retribution과 같이 

FPS 온라인 게임의 새로운 시도는 몇 년 전부터 계속 해왔으나, 

이번 오버워치에서 크게 성공을 거둔 것이다. 

오버워치 해외 평가에 대한 이미지 검색결과

10분 내외로 끝나는 간편성을 제외하고, 

위에 언급된 게임들 중에 오버워치의 장단점을 그대로 지니고 있는 게임들이 있다. 


가장 큰 성공요인으로는 모바일 게임과 같이 단시간에 간편하게 즐길 수 있는 상황을 

FPS에 적용시킨 것이며, 

게임 대회로도 확장시킬 수 있는 요소를 상당히 의도해서 만들었기 때문이다. 

또 대부분의 캐릭터가 호감을 살 수 있는 외형을 가졌다. 

엉덩이 등의 색다른 섹스 어필로 사람들의 시선과 기대를 끌어모으고 

여러 광고에서 얼굴마담으로 사용된 트레이서와 위도우메이커가 대표격인 캐릭터다. 

Posted by 수잔이
,